전체 글12 [구조기능주의] 학교의 교육적 기능 구조 기능주의에서 바로본 학교 교육적 기능 구조 기능주의자들은 학교교육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갖는다. 그들은 교육이 인간의 모든 조건을 균등화시킴으로써 전체사회의 균형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 아울러 학교교육이란 봉건제도적인 사회들이 붕괴되면서 귀속적인 요인들을 대신하여 개인들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해주는 것으로 대치되었다고 전제한다. 현대사회는 업적주의 혹은 경쟁적 상승이동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가 사회이다. 따라서 개인의 사회적 진출은 능력에 기초한 자유경쟁에 의해서 결정된다. 학교는 능력 또는 업적에 기초한 자유경쟁의 가장 대표적 기관이며, 각 개인들의 능력이나 흥미에 따라 다양하게 미래생활에 대한 준비를 시킴으로써 장래의 직업적·사회적 지위를 배분하는 사회적 선.. 2022. 11. 11. 교육의 구조기능주의 의미 교육의 구조기능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구조기능주의 이론 구조기능주의 이론은 콩트(A. Comte)와 스펜서(H. Spencer)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사회를 생물체에 비유하여 생각하는 관념은 사회학 성립 때부터 널리 퍼져있었기 때문이다. 콩트와 스펜서에 의해 기초가 형성된 구조기능주의 이론은 뒤르켕(E. Durkheim), 파레토(V. Pareto), 말리노우스키(B. Malinowski)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발전하였으며, 미국의 대표적 사회학자 파슨스(T. Parsons)에 이르러 매우 포괄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정립되었다. 구조기능주의 이론은 관점이나 강조점이 학자들 사이에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명칭도 학자에 따라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theor.. 2022. 11. 10. 누가 그 병을 앓는가? 졸업장병을 앓는 이들 도어의 예측 도어는 1976년 초판에서 주요 4개국(영국, 일본, 스리랑카, 케냐)를 중심으로 그의 논지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쿠바, 탄자니아, 중국의 자료도 급진적인 사회주의적안으로 함께 다루었다. 일찍 발달한 영국에서 후발 국가인 케냐까지, 네 나라는 각기 다른 발전 단계를 대표한다. 케냐와 같이 최근에 근대화가 급속히 진행된 나라에서는, 학생들이 더 나은 대우를 받는 직종이 있는 '현대적' 경제 영역에 속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병이 가장 치명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러한 예측이 얼마나 들어맞는지는 부분적으로 세 가지 요인에 달려있었다. 첫째 요인은 졸업장의 활용이 공공 부문 고용 규모와 위신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점이다. 공공 부문은 선발에서 졸업장을 활용하였으며, 일본의 .. 2022. 11. 10. 졸업장병 졸업장병이란 무엇인가? 논의의 시작 도어의 1976년 논의는 교육 공급(educational provision)은 증가하지만 고용은 제한되어 있던 당시에 학교교육이 ‘지위재(positional good)'가 된다는 것이다. 지위재의 가치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가지고 있는지에 달려 있다. 일자리 신규 채용이 교육경력에 따라 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특정 직업에서 요구하는 졸업장의 수준이 꾸준히 높아져가는 학력 인플레이션을 초래했다. 도어의 예에 따르면, 5명을 뽑는 버스 차장 자리에 50명이 지원했다면 고등학교 졸업장이 있는 10명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채용의 전 과정을 간단하게 해 준다. 왜냐하면 다른 40명을 불합격시킬 합리적인 이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 많은 학생들이 그들에게 우위를 .. 2022. 11. 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