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기능주의에서 바로본 학교
교육적 기능
구조 기능주의자들은 학교교육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갖는다. 그들은 교육이 인간의 모든 조건을 균등화시킴으로써 전체사회의 균형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 아울러 학교교육이란 봉건제도적인 사회들이 붕괴되면서 귀속적인 요인들을 대신하여 개인들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해주는 것으로 대치되었다고 전제한다.
현대사회는 업적주의 혹은 경쟁적 상승이동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가 사회이다. 따라서 개인의 사회적 진출은 능력에 기초한 자유경쟁에 의해서 결정된다. 학교는 능력 또는 업적에 기초한 자유경쟁의 가장 대표적 기관이며, 각 개인들의 능력이나 흥미에 따라 다양하게 미래생활에 대한 준비를 시킴으로써 장래의 직업적·사회적 지위를 배분하는 사회적 선발기관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더라도 학교교육에서의 공정한 경쟁을 통하여 개인의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개인적으로는 세대내의 사회적 지위이동을 도모할 수 있으며, 국가·사회적으로는 사회적 평균 및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학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기관으로 여겨진다.
첫째, 학교는 재능 있는 사람들을 분류 · 선발하는 합리적인 기제로서, 가장 유능하고 동기가 강한 사람들을 최고의 지위에 오르게 한다.
둘째, 학교는 갈수록 전문적 기술과 지식에 의존하게 되는 사회에서 대부분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인지적 기술과 규범을 가르친다. 또는 학교는 장래의 사회적 안정, 사회적 지위, 소비수준의 가능성을 부여하는 일종의 분배기관으로서도 그 중요성이 인식된다. 학교교육은 특권층의 부모들이 자신들의 높은 지위를 그 다음 세대로 전승시키는 이권을 감소시켜 일반 서민층 아동들로 하여금 특권층 아동들과의 격차를 근접시키도록 기회를 증진시킨다. 그것은 교육적 자격, 직업적 지위를 결정하는 현대사회에서 학교교육이 직업선발의 보편적 방법이기 때문이며, 모든 아동들을 공통적인 성취 수준과 평가방법에 접하게 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성과에 대한 부모들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능주의적 관점에서의 학교교육은 전체 사회질서를 위해 학교가 수행하는 어떤 필요불가결한 기능을 제시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학교교육의 확대
가정배경, 학교교육, 사회적 성취의 관계에 대한 기능주의적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① 가정배경은 어느 정도 학교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② 그러나 사회적인 성취에 가정배경이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 ③ 그러므로 학교교육은 사회적 성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학교교육은 교육의 기회균등과 이를 통한 사회적 평등실현을 위한 노력으로써 학교에의 균등한 접근이라는 취지 아래 확대되어졌다. 이것은 개인적으로는 사회적 상승이동의 주요 통로였고, 경제적으로는 경제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 공급하기 위한 인력정책의 요구였으며, 사회적으로는 빈곤 추방과 제반 사회적 불균등을 제거하기 위한 평등의 전략이었다.
헌(Christopher J. Hurn)은 학교교육의 확대에 대한 대중적 후원이 증가한 이유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① 젊은이들의 사회화에 대한 전통적 합의의 붕괴
② 인지적 기술·도덕적 합의를 위한 새로운 산업사회의 요구 또는 필요의 결과였다. 이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공정한 경쟁에서 그러한 높은 지위를 얻어 냈다는 논리로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합리적으로 정당화 한다. 또한 공평한 접근기회가 있을 때 차별적인, 성취에 대해 차별적인 보상을 하는 것은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공동가치, 즉 기회의 균등에 대한 합의된 가치와 신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사회의 기능적 불평등에 대한 정당화는 기회의 균등을 필요로 하고, 그것은 다시 학교교육의 확대를 의미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이론] 학교의 교육적 기능 (0) | 2022.11.12 |
---|---|
교육의 갈등이론 (0) | 2022.11.11 |
교육의 구조기능주의 의미 (0) | 2022.11.10 |
누가 그 병을 앓는가? (0) | 2022.11.10 |
졸업장병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