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신교육사회학

by 다른공간 2022. 11. 12.

새로운 교육사회학의 대두

등장

교육사회학은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의 거시적 관점을 비판하고 미시적 관점에서 학교의 교육내용 자체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이 등장하게 되었다.

구조기능주의가 투입-산출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시각으로 경험적 또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육 및 교육제도에 관해서 연구하는 구조기능주의적 교육학사회학은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만 해도 당연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교육사회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연구를 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 학자들이 영국에서 나타났다. 그들은 그간의 교육사회학을 구교육사회학이라 하고 이에 대비시켜 신교육사회학이라고 불렀다.

이 신교육사회학은 ① 참신한 문제의식 하에서, ② 신선한 연구주제에 관하여, 독특한 연구방법의 절차를 제시하고 의욕적으로 연구 활동을 전개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교육사회학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영국에서는 노동운동이 점차적으로 격화되고 노동자들의 생활향상과 그들 자녀의 교육문제가 중요한 정치·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그 당시는 사회평등구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이 극도로 고조되었던 시기였다. 따라서 노동자 계급 자녀들의 교육기회와 학업성취, 진로 등에 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었고 이는 모두 교육사회학적 연구의 공적이었다.

 

한계

그러나 이들 연구가 사회정책과 교육정책의 맥락에서 설계·진행되는 경향이 강하여 교육의 기능을 사회체제와 관련시켜 구조기능주의적 시각에 따라 거시적이고 객관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불평등한 교육기회의 시정을 목표로 한 중등 교육제도의 개혁은 기대한 것처럼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다시 말해서 일련의 연구성과는 불평등의 실태를 피상적으로 기술할 수는 있었지만, 학교조직의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불평등의 실질적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결국 불평등의 근본원인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하지 못했다.

 

마이클영

신교육사회학의 출현은 1970년에 개최된 영국 사회학회에서 발표된 ‘대안적 전망'(alternative perspective)에 관한 여러 논문이 영(M. F. D. Young)이 편집한『지식과 통제: 교육사회학의 새로운 방향』 (1971)이 출간되어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 책의 서장에서 종래의 교육사회학은 사회계층과 교육기회 분배문제에만 집착한 나머지 학교 내부의 현상에는 등한시하였으나 이제부터는 교육기관에서 가르치고 있는 지식의 사회성에 눈을 돌려야 하며 결국에는 교육사회학과 지식사회학이한 학문임을 인식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그는 파슨스에 의해서 대표되는 구조기능주의 또는 기능주의적 실증주의 및 학문적 객관주의에서 해방되어야 한다고주장했고, 지식사회학적 시각에 입각하여 학교 내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이에 대해 해석할 것을 강조했다. 신교육사회학은 지식의 사회적 조직, 예를 들면 ‘왜’ 또는 ‘어떻게 해서' 일정한 지식과 기준이 교육을 지배하게 되었는가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한다. 영은 신교육사회학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사람으로 교육사회학 발달에 영향을 뚜렷이 하였다.

 

번스타인

또한 번스타인(B. Bernstein)은 영과 함께 신교육사회학에 지대한 공헌을 한 학자로서 알려져 있다. 그의 신교육사회학 발전에 기여한 학문적 업적은 사회언어학적 시각에서 학교교육을 아동의 언어와 관련시켜 연구한데 있다. 사회계급과 어법(codes)에과한 그의 연구는 계급을 재생산하는 사회의 구조와 과정을 통합해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그는 계급의 근원은 발생학적인 유전인자에 의해서보다는 계급 자체가 만들어낸 의사소통을 위한 어법에 의해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 것에서 찾았다. 그러나 그가 행한 연구의 독창성은 계급과 어법의 관계를 상세히 분석한 사실에 있기 보다는 오히려 상이한 계급이 어떻게 각각 다른 의사소통의 형식을만들어 내는가 하는 과정을 분석한 사실에 있다. 그에 있어 어법은 특정한 사회관계의 함수이고, 사회구조적 질적 함수라고 보았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이론] 학교의 교육적 기능  (0) 2022.11.12
교육의 갈등이론  (0) 2022.11.11
[구조기능주의] 학교의 교육적 기능  (0) 2022.11.11
교육의 구조기능주의 의미  (0) 2022.11.10
누가 그 병을 앓는가?  (0) 2022.11.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