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 신교육사회학과 교육 구조의 관련성 교육 구조와의 관련성 복선형 중등 교육제도 미국과는 달리 영국은 1944년 교육법에 의해 복선형의 중등 교육제도를 채택하였다. 복선형 중등교육기관인 고전중등학교(grammar school), 기술중등학교(teachnical school), 현대중등학교(mordern school)는 사회로부터 각각 다른 평가를 받았다. 또 각 학교는 다른 질의 교육과정을 설치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장래 지위를 차등적으로 결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소위 '만 11세 시험'에 의해서 우수한 자는 고전중등학교에, 학력이 중간정도의 아동들은 기술중등학교에, 그리고 학력이 열등하거나 또는 우수해도 빈곤한 층의 아동들은 현대중등학교에 진학하는 것이 보통이다. 영국에서는 우수한 아동들을 조기에 선발해서 고전중등학교에 입학시키고, 엘.. 2022. 11. 13. 신교육사회학 새로운 교육사회학의 대두 등장 교육사회학은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의 거시적 관점을 비판하고 미시적 관점에서 학교의 교육내용 자체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이 등장하게 되었다. 구조기능주의가 투입-산출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시각으로 경험적 또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육 및 교육제도에 관해서 연구하는 구조기능주의적 교육학사회학은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만 해도 당연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교육사회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연구를 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 학자들이 영국에서 나타났다. 그들은 그간의 교육사회학을 구교육사회학이라 하고 이에 대비시켜 신교육사회학이라고 불렀다. 이.. 2022. 11. 12. [갈등이론] 학교의 교육적 기능 갈등이론에서 보는 학교교육의 기능 관점 갈등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은 현대의 학교교육제도는 하나의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본다. 학교 교육의 내용도 인지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기보다는 계급과 관련된 가치와 태도를 강화한다는 것이다. 특히 갈등이론에서는 위계적 분업이란 - 기능주의자들이 작업의 전문화라는 미명으로 명명하였지만, 각 하위집단을 각기 분리된 작업 상황에 배치함으로써 하위집단의 구성원들을 각기 분리시켜 결국 하위집단들의 통합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제도가 자본가 계급의 주도권(hegemony)을 크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는 교육제도 하에서 자본가들의 이해에 들어맞는 불평등체제를 재생산하는데 있어서 중심이 되기 때문에 학교는 계급투쟁의 각축.. 2022. 11. 12. 교육의 갈등이론 갈등이론에서 보는 교육의 관점 중심개념 갈등이론(conflict theory)은 구조기능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론으로 마르크스(K.Marx)나 베버 등의 사상과 이론에 기초하여 보울즈(S. Bowles), 코저(L.A. Coser), 다렌돌프(R. Dahrendorf) 등을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갈등이론의 중심개념은 갈등, 변동, 억압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사회는 그 사회의 권력 있는 지배집단이 거의 모든 사회의 가치를 가지고 현 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피지배 집단은 항상 소외된다는 것이다. 사회가 지배집단, 엘리트 즉 특권층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사회는 지배집단단의 이익에 봉사한다. 나아가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의 관심은 늘 상충되는 면이 있기 때문에 그들 간에는 갈등이 따르게 된다. 갈등이론은.. 2022. 11. 11. 이전 1 2 3 다음